oto방송 김민석 기자 | 충남도의회 박정식 의원(아산3·국민의힘)은 2일 제361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5분 발언을 통해 충청남도 내 디지털 LED 신호등 확대 도입의 필요성을 강력히 주장했다.
박 의원은 “충남지역 교통사고 건수가 2022년 8,164건, 2023년 8,606건, 2024년 8,951건으로 해마다 증가 추세에 있다”며 “특히 교차로·횡단보도에서 발생하는 사고나 야간·악천후 시 발생하는 사고가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기존 전구형 신호등은 시야 확보에 한계가 있어, 가시성과 시인성이 뛰어난 디지털 LED 신호등의 설치 확대가 시급하다”며 “디지털 LED 신호등은 스마트 교통시스템 구축의 핵심 인프라로, 이미 대전·울산·광주 등 타 지자체에서는 어린이 보호구역과 사고다발지역을 중심으로 적극 도입해 교통법규 준수율이 크게 향상됐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코리아리서치 설문조사 결과, 해당 신호등이 시범 설치된 지역의 신호위반 차량은 약 67%, 정지선 위반 차량은 약 78% 감소하는 등 뚜렷한 효과가 나타났으며, 운전자들도 악천후 시 신호 인지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고 밝혔다.
충남에서는 당진시에 최초로 디지털 LED 신호등이 설치됐으며, 이는 현대제철의 ‘H형 빛나는 도로’ 기금 지원을 통해 추진됐다.
박 의원은 “현재 도내 14개 시군은 여전히 구형 신호등을 사용하고 있다”면서, “어린이 보호구역, 노인복지시설 주변, 산업단지 진출입로 등 교통위험 지역을 중심으로 신속한 설치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박 의원은 ▲2026년 본예산의 관련 사업 반영 및 도비·시군비 연계 지원 ▲위험도가 높은 지역부터 단계적 설치 추진 ▲설치 이후 효과 분석을 통한 스마트 교통 인프라 구축 방향 정립 등도 제안했다.
박 의원은 끝으로 “디지털 LED 신호등은 단순한 설비가 아닌 도민의 소중한 생명을 지키는 핵심 안전 인프라이며, 변화하는 도시 구조와 기후에 대응하는 스마트 교통정책의 출발점”이라며, “신호등 하나가 한 생명을 구할 수 있다는 마음으로 도민 안전을 위한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바란다”고 당부했다.